BMI (Body Mass Index)는 다른말로 체질량지수라고 한다. 흔히 사용되는 비만도를 확인하는 방법 중 하나로 BMI지수에 따라 비만도를 나눌 수 있다.
BMI 계산하는 방법
체중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눈다. (kg/m²) 예를 들어 165cm의 키를 가진 여성의 몸무게가 53kg이라면 53/(1.65*1.65)인 것. 계산하면 약 19.46이 나오는데 이것이 체질량지수이다. 간단하게는 포털사이트에서 계산기를 통해 할 수 있다.
BMI를 통해 비만도를 판단하는 방법
BMI지수를 통해 비만도를 판단하는 지수의 기준은 거의 비슷합니다. 아래 표를 통해 성인의 BMI 비만지수를 확인해 부세요. 다만 BMI 지수를 통한 비만도 판단은 서양의 기준이라서 아시아 기준에서는 조금 다르게 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한국을 포함해 동아시아는 25 이상을 비만, 30이상을 고도비만으로 정의하고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분류 | 지수 |
저체중 | 18.5 미만 |
정상체중 | 18.5~23 |
과체중 | 23~25 |
1단계 비만 | 25~30 |
2단계 비만 | 30~35 |
3단계 비만 | 35 이상 |
BMI 지수의 허점
지방이 근육보다 부피가 크다는 사실 알고 계시죠? 쉽게 말하면 같은 무게일지라도 지방형 몸이 근육형 몸보다 더 뚱뚱해 보인다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170에 80kg인 사람은 BMI 지수로 27.68 1단계 비만에 속합니다. 우리나라 기준에서는 비만입니다. 하지만 한 사람은 누가봐도 뚱뚱한 지방형 몸매이고, 한 사람은 근육이 단단하게 자리잡은 근육형 체형이라고 했을 때, 그래도 둘 다 비만일까요?
BMI는 단순히 신장과 몸무게로만 비만지수를 평가하기 때문에 절대적인 판단기준은 아닙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지방과 근육이 적절히 자리잡은 체형이거나 너무 마르거나 너무 뚱뚱해서 BMI 지수의 극단에 있는 사람에게는 잘 맞는 판단기준일 수 있습니다. 보통 체형이라면 인바디를 통해 체지방지수, 근육량 등을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너무 살이 찐 것도 건강에 좋지 않지만, 너무 마른 상태도 건강에 위협적일 수 있습니다. BMI 체질량 지수 뿐만 아니라 인바디 등 다양한 측정 방법으로 내 신체의 상태를 정확히 알고 운동이나 식단을 통해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댓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국내 (KOREA) > 미용 뷰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 가을패션 트렌드 읽기 (0) | 2019.09.24 |
---|---|
고주파마사지기 효과 / 효능 / 장단점 (0) | 2019.09.23 |
아이돌물 부작용? 주의사항 확인하자. (0) | 2019.09.21 |
지방흡입 바본 원인과 해결 방법 (0) | 2019.09.20 |